1
프랑스는 대형 마트 및 식료품을 위주로 파는 씨티형 슈퍼마켓이 발달 했으며 특히 냉동 전문 매장이 위치 하고 있음
마트 및 슈퍼마켓 (Super Market) | 모든 카테고리르 제품을 판매하는 대형 마트 및 식료품을 위주로 파는 슈퍼마켓 |
Carrefour (까르푸) / Carrefour City:프랑스 도심 내에 대형마트보다 작은 Carrefour City Auchen :프랑스 최대의 유통업체로 그룹 내 중형 마켓으로 Simply 운영 Monoprix Marche Franfix Franfix, Dia Simply : 대형 마트인 Auchen 그룹의 마켓으로 물건이 좀 더 저렴함 |
냉동 전문 매장 | 냉동 식품 전문 매장으로 질 좋은 냉동식품을 판다고 인식되어 있어 소비자들에게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음 |
질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제품을 판매하는 냉동 식품 전문 매장 |
Organic 전문 매장 | 환경보호, Bio 관련 다양한 상품 판매 (의류,식품, 화장품약)등 한 개의 브랜드에서 다양한 영역의 제품을 판매 하고, 실제로 매장을 찾는소비자가 많은 편임 |
1973년도에 설립되어 파리에만 50여개의 매장을 둠 합리적인 가격대와 엄격한 품질관리로 식재료, 건강 보조식품, 화장품, 세재 등의 제품 판매 |
2
마트 내 유제품 매장 방문
- 다양한 종류의 우유 제품 보유
- 치즈의 경우 일반 포장되어 있는 제품 이외에도 즉석에서 커팅해주는 방식으로 구매 하기도 함



3
마트 내 육류 매장 방문
- 1~2회 요리를 위하여 소량 포장된 냉장육
- 돼지 소고기 닭고기는 물론 토끼고기와 같은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육류 판매




4
마트 내 아시아 식품
- 지난 몇 년간 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대중적으로 변화하면서 일반 마트(까르푸, 모노프리, 인터마 르쉐)와 같은 유통채널에서 아시아 식품(라이스페이퍼, 스프링롤, 쌀, 간장, 두부)와 같은 제품들 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됨


5
마트 내 냉동 식품
- 다양한 종류의 냉동식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Ready made를 할 수 있는 야채 종류도 눈에 뜀


6
냉동 식품 전문 매장
- 바쁜 직장인들을 위해 그리고 신선한 야채를 신선하게 섭취하기 위해 혹은 잦은 홈 파티 준비의 간소화를 위해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은 냉동식품을 애용
- 일반 마트(인터마르쉐, 까르푸, 모노프리)에도 다양한 냉동식품이 즐비하여 있지만 Picard는 냉동 식품 전문 유통채널로 많은 프랑스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높은 퀄리티로 인정받고 있는 브랜드임
- 프랑스 대부분의 음식들을 Picard에서 구매하여 오븐이나 전자레인이지 혹은 실온에 둠 등을 통해 음식을 간편하게 만들 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



7
냉동 식품 전문 매장
- Picard 내에 다양한 제품군 보유
- Picard에는 없는 것이 없음. 한국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냉동 피자와 파스타 제품부터 특이한 프랑스식 요리와 스시 그리고 디저트까지 대부분의 식품들을 Picard에서 구매할 수 있음.
- 가공된 요리와 더불어 다듬어진 시금치, 브로콜리, 파, 사과 및 산딸기와 같은 원재료도 냉동으로 판매.
- 이들 원재료들은 생물보다 저렴하면서 높은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어 주부들에게 인기가 높음
8
냉장/냉동고 사용 행태
- 1대의 냉장고를 사용하는 가정의 경우, 냉장고 대비 냉동고의 식품 보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
- 냉동고에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냉동 식품과 보드카 등이 보관 되어 있음
- 냉장고에는 먹다 남은 볶음밥이나 유제품 및 과일, 소스, 주스등이 보관 되어 있음


- Q) 식료품 보관. 냉동고와 냉장고 사용에 관해.
- A) 냉장고를 산지 좀 되긴 했는데, 냉장고 선반이 부러져서 앞으로 구입할 경우 튼튼한 제품이었으면 좋겠어요.
9
여러 대의 냉장고 사용
- 냉동 식품 구입 및 보관율이 높기 때문에 냉동고를 추가로 사용하고 있음
- 냉장고의 경우도 한 개가 아닌 두 개의 냉장고를 사고 있으며 냉장고의 식품 보관율도 80%이상임




- Q) 식료품 보관. 냉동고와 냉장고 사용에 관해.
- A) 식구들이 많긴 하지만 냉동 식품 저장을 위해 추가로 냉동냉장고를 사용하고 있어요.
- Q) 장을 언제 보는지?
- A) 주기적으로 보기도 하지만 냉장고가 좀 빈 것 같으면 마트 같은데 가서 식료품 쇼핑을 많이 해오죠.
10
프랑스인의 음식물 소비 현황
- 프랑스 성인 일일 식음료 섭취량 : 2.7kg, 약 2200kcal(여 : 1855kcal, 남 : 2500 kcal)
3-17세 일일 식음료 섭취량 : 1.8kg (성인에 비해 음료를 비교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남) - 전체 음식물 소비량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계란과 과인 그리고 육류 소비가 조금씩 감소.
- 프랑스인 한해 음식물 지출 비용은 1960년 1 470유로에서 2007년 2 640유로로 증가.
- 2009년 조사에 따르면 한 해 음식물 관련 소비지출이 전체 지출의 13.6%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.
- 일년에 배출되는 전체 쓰레기의 양이 총 100kg이라고 한다면,
- 72kg -> 음식물 쓰레기
- 7kg -> 포장된 음식물 쓰레기
- 3.8kg -> 기타 쓰레기
- 15.1kg -> 정원정리에 따른 쓰레기
- 프랑스인 한해 쓰레기 배출량 은 90kg에 달하며 총 560만 톤.
구매한 음식물중의 21%가 쓰레기로 배출되고 있지만 프랑스인 음식물 쓰레기 인식 조사결과 6%만 배출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. - 30%(27kg)의 음식물은 포장용기에 그대로 담겨서 배출.
-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중 반 이상은 과일과 야채가 있고 그 다음 먹다가 남은 음식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.
- 음식물 배출에 따른 보이지 않는 지출은 프랑스인 일인 당 한해 430유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.
11
프랑스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
-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범국민적 쓰레기 감소 캠페인
- 프랑스는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 배출 감소를 위한 범국민적 정책을 2010년 11월부터 시행
-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에 유용한 정보 공유와 상담 시스템을 누구나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사이트 개설
- 개인과 기업의 노력들에 대해 단계적으로 명시
- 개인 : 식료품을 살때는 필요 이상 사지 않도록, 장바구니 활용
세제 종류는 리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매,
환경마크가 있는 제품 위주로 구매
남은 음식물을 거름으로 만들어 쓰기 - 기업 : 분야별로 쓰레기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맞춤형 정보 제공
쓰레기 배출을 줄임으로 해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한 정보 제공
- 개인 : 식료품을 살때는 필요 이상 사지 않도록, 장바구니 활용

프랑스 | 유럽 평균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1000 톤 | % | 1인당 한해 소비량(단위 kg) | % | 1인당 한해 소비량(단위 kg) | |
가정 | 6 323 | 73.6 | 101.9 | 42 | 76 |
식품 산업 | 626 | 7.3 | 10.1 | 39 | 70 |
유통채널 | 562 | 6.6 | 9.1 | 5 | 8 |
레스토랑 | 1 080 | 12.5 | 17.4 | 14 | 25 |
유럽국가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교 그래프(1인당 한해 소비량 (단위 kg))

12
정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
프랑스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음식물 구매 시 현명한 소비를 할 것을 가장 강조하고 있음.
- 1.매번 같은 양의 음식물 구매
- 2.냉장고안에 있는 음식의 구매 날짜 확인
- 3.냉장고 정리를 자주 실행하기
- 4.남은 식재료를 활용해서 요리하기
- 5.주택거주자는 비료를 만들어서 마당에 뿌리거나 텃밭을 가꾸는데 사용
- 6.제철 과일과 야채 구매하기

- 프랑스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음식물을 분리배출 하는 체제가 잡혀있지 않아 일반쓰레기와 함께 배출하는 경향이 있음
- 쓰레기통에 버려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
13
프랑스 거주자들은 실제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잘 하고 있지 않으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은 편임
- Q) 음식물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하는 지?
- A) 음식물 쓰레기 분리는 거의 하지 않음.
물론 분리 수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음. 와인병 같은 재활용 제품 정도 분리하는 수준임(30대 아파트 거주자)
아파트의 경우 외부 1층 별도 공간에 쓰레기 종류 별 담을 수 있는 쓰레기 통이 있으며 벽에 어떻게 분리 수거를 해야 한다는 설명이 되어 있음
- A) 음식물 쓰레기 분리는 거의 하지 않음.
- Q)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다른 방법으로 한 적 있는지?
- A) 남은 음식물을 앞마당에 거름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는데 냄새 때문에 포기했었음
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고려한 적은 있는데 비용도 높고, 싱크대에 설치가 어렵다고 해서 하지 못했음 (40대 단독주택 거주자)
- A) 남은 음식물을 앞마당에 거름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는데 냄새 때문에 포기했었음




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